북미 챌린저스 리그(NACL) e스포츠 선수들 파업 소식과 함께 5년만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롤드컵 대회 진행 방식에 대해서 소개 해드리겠습니다.
-북미 챌린저스 리그(NACL) e스포츠 선수 파업 선언
최근 북미 지역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십 시리즈 관련해서 선수들이 파업을 선언을 했다.
라이엇 게임즈의 북미 리그 정책 변경에 따른 항의를 파업을 통해 의견을 표출한다는 것이다.
작년 라이엇 게임즈는 북미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LCS)를 활성화하고 리그에 참가하는 팀들이 다양한 선수 풀을 갖출 수 있도록 'NACL'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북미 리그 오브 레전드 리그(LCS)에 참여하는 10개 팀이 의무적으로 NACL 팀을 구성해 2군 팀을 운영하고 인재를 육성토록 하는 정책이다.
하지만 LCS 구단들은 재정 및 운영이 어렵다며 해당 의무 조항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고 라이엇 게임즈는 이를 받아들여 의무 운영 조항은 삭제했다.
이에 무려 10개 팀 중 7개팀이 NACL 팀을 운영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LCS 선수 측은 이번 정책 변경으로 약 70명의 선수, 코치, 감독들이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고 이러한 중요한 결정을 LCS 선수들과 소통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
사상 초유의 파업 사태는 극적으로 타결되어 다행히 원래 계획한 일정에 개막했다.
무사히 개막을해서 다행이지만 북미리그(LCS)는 처참한 흥행기록을 보여주고 있다.
e스포츠 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e스포츠 차트를 보면 6월 1일에 진행된 LCS 개막전인 클라우드 나인과 골드 가디언즈 경기 최대 시청자 수는 77,000명에 불과했다.
해당 시청자 수는 지난 시즌 개막전 시청자 수 보다 무려 10만 명가량 감소한 수치이다.
이는 개막전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경기도 마찬가지다. 10만 명 이상 기록한 경기는 6월 15일에 진행한 팀 뤼키드와 100 씨브즈 간의 경기일뿐이다.
북미리그 인기는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고 이에 라이엇과 구단들도 북미리그 2군 의무화 폐지 등 힘을 빼고 있는 추세였다.
국제무대에서 번번이 탈락하고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였고 심지어 라이벌로 불린 유럽에 비해서도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북미리그(LCS)에 인기는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발로란트 종목과 리그가 활성화되고 인기가 많아지면서 매인 중계 시간대도 뺏길 위기에 쳐해 있다. 과연 북미리그(LCS)는 이전에 영광을 되찾고 국제무대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지 2023년 올해 국제대회 성적이 매우 중요한 시즌이 되었다.
-롤드컵 5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하다.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개최하는 LoL e스포츠의 최대 규모의 대회이자 시즌 결산 세계 대회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최대 규모의 e스포츠 시장을 가지고 있는 만큼 동시 시청자 수와 시청 시간 부분에서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해 치러지는 대회마다 신기록을 새롭게 경신 중인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e스포츠 대회이다.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명칭은 월드 챔피언십, 그리고 공식 약칭으로 Worlds라 칭하며 한국에서도 공식 약칭은 월즈라고 부른다. 공식 약칭은 아니지만 한국에서는 롤드컵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리고 알려져 있다.
2023년 드디어 롤드컵이 한국에서 개최된다. 2014년과 2018년에 이어 2023년까지 한국에서 3회째 개최이고 상제 일정과 개최 도시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 -라운드 1
- -각 팀이 무작위로 다른 지역의 팀과 짝을 이루어 대결한다.
- -라운드 2
- -승자전(1-0)
- -패자전(0-1)
- -라운드 3
- -진출전(2-0)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결선에 1등/2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4라운드로 진출한다.
- -1-1 경기
- -탈락 전(0-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4라운드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한다.
- -라운드 4
- -진출전(2-1)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결선에 3등/4등/5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5라운드로 진출한다.
- -탈락 전(1-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5라운드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한다.
- -라운드 5
- -최종전(2-2) 이 매치에서 승리한 팀은 결선에 6등/7등/8등으로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탈락한다.
스위스 스테이지 일명 스위스 시스템은 1895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체스 대회에서 처음 도입되었기 떄문에 해당 이름으로 불린다.
경기 숫자가 많이 늘어나 버리는 풀리그와 대진운이 크게 작용하는 토너먼트 방식을 모두 택하기 어려울 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오늘은 롤드컵 한국 개최 소식과 스위스 스테이지에 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e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스포츠] 저스트 댄스, 2023년 올림픽 e스포츠 시리즈로 정식 채택 (0) | 2023.06.29 |
---|---|
[e스포츠] "스트리트 파이터 게임 가이드: 게임 플레이, 역사 등 (0) | 2023.04.11 |
[e스포츠] Rainbow Six Siege 게임 소개 (0) | 2023.04.10 |
[e스포츠] 내면의 파이터를 깨우세요 - 철권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3.04.07 |
[e스포츠] 스페셜포스 게임 - 멀티플레이어 FPS 게임 (0) | 2023.04.06 |
댓글